

  
같이 행복해야 진짜 행복한 사회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기준으로 판단한다.
  
강의를 같은 한 공간에서 동시에 똑같이 들어도
자신의 기준으로 듣다보니 동일한 강의 내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수용과 반응을 하기도 한다.
  
누구나 자신의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 때문에 
한 땅에서 
같이 사는 대한민국호가 
행복 항해를 못하는 
예를 세월호에서 보고있다.
  
얼마전 끝난 제19회 부산 국제영화제에서 이상호 기자와 안해룡 감독이 공동연출한 다이빙벨이 초정을 받아 전 좌석 매진을 기록했었다.
부산 국제영화제의 조직위원장인 서병수 부산시장은 이 영화의 상영 중단을 요구했었지만.
  
4월 16일 일어난 세월호 참사에 대하여
아직 밝혀져야 할 것들이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는 상태다.
그 진상을 밝히고 다시는 이런 사고가 없기를 바라며 만들려고 하는 세월호 특별법을 둘러싸고는 오랜동안 갈등이 있었고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의 양당 합의가 있었지만 아직도 세월호 특별법은 미완이다.
  
이렇게 동일한 사항을 놓고
자신의 관점으로만 보다 보니 갈등만 증폭되고 해답이 나오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이라는 사회에 사는 국민은 행복하고 싶다.
  
지금보다는 좀 더 행복한 사회가 되려면
내 기준으로만 나가려고 주장할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의견을 듣고 경청하고 수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것이 정치이고
정치인은 그 능력이 있어야 한다.
  
 
 
  
같이 행복한 진짜 행복한 사회를 꿈꾼다
  
다이빙벨은 10월 23일로 개봉일을 확정했다
이제 극장에서 상영관을 얼마나 내어줄지가 관심사다
  
상영관 숫자가 함께 행복한 사회로 가려는 의지가 있는 사회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영화 다이빙벨 한장면
부산 국제영화제에서 초정을 받아 전 좌석 매진을 기록함으로
이미 흥행이 예고 된 다이빙벨을 상영하는 개봉관은 많아야 하는 것이 돈 경제 논리로 볼 때 당연한 이치다.
그런데 상영관 숫자가 적다면
진실을 규명하고
함께 행복한 사회로 가려는 의지가
정치권과 정부에서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치권과 정부, 그리고 다이빙벨 상영을 반대하는 여론 등은 다이빙벨 상영을 못하게 하는 외압이 없기를 바란다.
스스로 상영을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대기업 계열 영화관 물론 없기를 바란다. 
이 영화를 보는 데 어떤 문제가 있는가 ?
이 영화를 본 국민이 판단하도록 하자.
  
세월호 참사와 세월호 특별법을 둘러 싼 진실공방은 이 영화가 전국에 상영된 후 하자.
세월호 특별법은 진상을 제대로 밝히는 것이 핵심이니 10월말까지 처리하기로 했던 세월호 특별법은 늦출 필요가 있다.
  
다이빙벨 10월 23일로 개봉일을 확정했다
  
이제는 더 이상 분노가 힘이되고 욕망이 힘이 되는 사회는 지양하자.
  
같이 행복한 진짜 행복한 사회를 꿈꾼다
카빙 cabing 행복을 창조하는 사람들 이야기 
[ 카빙 CABING - 지속적인 행복의 기반을 창조하는 사람들 이야기 ]
행복 소통을 위해 < 카빙뉴스 > 저작권을 밝히신 후 [전재 재배포]를 허락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