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영역은 전년도 수준 유지 
13일 전국에서 일제히 시작된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언어영역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한 수준으로 출제된 반면, 수리영역은 다소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보인다. 
대학수능시험 출제위원장인 안태인 교수(서울대 생명과학부)는 이날 오전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해 수리 ‘가’형이 너무 쉬웠다는 평가가 있어서 난이도 있는 문항을 더 포함시켜 작년 수능보다는 조금 더 어렵게, 6, 9월에 있었던 모의 수능보다는 조금 쉽게 조정했다”고 밝혔다. 
안 교수는 “1교시 언어영역은 특별히 난이도 조정을 하지 않았다”며 “전년도 수준이 적절했던 것으로 평가됐기 때문에 전년도 수준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시험의 전체적인 난이도와 관련해 안 교수는 “수능시험의 난이도는 매년 비슷하게 균형을 유지해야 하므로 예년 수준을 유지하려고 애썼다”며 “수능이 쉬워도, 또 어려워도 문제인 만큼 수험생들의 기대치에 맞췄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안태인 출제위원장이 밝힌 2009학년도 대학수능시험 출제 기본 방향이다. 
언어 영역, 외국어(영어) 영역은 범교과적 소재를 바탕으로, 수리 영역,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개별 교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고력 중심의 평가를 지향하고자 했다.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하고자 했다. 특히, 학교 수업에 충실한 수험생이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출제했다. 아울러 편중되거나 지엽적인 내용의 출제를 지양하고 시험 내용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 
단순 기억에 의존하는 평가를 지양하고, 주어진 문제 상황을 통해 문제를 탐구, 분석, 추리, 해결하는 사고 능력을 측정하도록 출제했다. 
각 문항의 배점은 교육과정상의 중요도, 사고 수준, 문항의 난이도, 소요 시간 등에 따라 다르게 했다. 
올해 수능의 전반적인 난이도는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되,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같이 제공되므로 선택과목 간 난이도를 조정하고 등급이 안정적으로 산출될 수 있도록 쉬운 문항과 어려운 문항을 적절히 안배해 변별력을 갖추도록 했다. 특히 수리 ‘가’형은 지난해 다소 쉬웠다는 의견이 있어서 적정 수준으로 조정했으며, 외국어(영어) 영역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상위권 변별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했다. 
선택과목 간의 난이도를 비슷하게 유지하려고 했다. 선택과목 간 상호 검토 등을 통해 사회탐구 영역 11개 과목, 과학탐구 영역 8개 과목, 직업탐구 영역 17개 과목, 제2외국어/한문 영역 8개 과목의 난이도가 영역 내에서 서로 비슷하게 유지되도록 했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핵심적인 내용은 과거에 이미 출제된 적이 있더라도 문항의 형태, 발상, 접근 방식 등을 약간 수정해 출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수험생들이 EBS 수능 방송과의 연계를 체감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 연계 방식으로는 시험 영역/과목별 특성에 따라 지문을 확장 또는 축소하는 방법, 도형·삽화·그림·그래프 등 각종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 주제·소재·상황을 활용하는 방법, 중요 지식·개념·원리·어휘를 활용하는 방법, 문항 유형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