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립기념관(관장 김삼웅)은 국가보훈처의 예산지원으로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는 해외독립운동 관련 사적지 사이버 프로그램 개발을 완료하고 2008년 1월 1일부터 운용에 들어갔다. 독립기념관은 이미 지난 2005년 광복 60주년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중국지역에 한정하여 동일한 프로그램을 시행한 바가 있다. 이 사업은 지난 10여 년간 시행된 해외독립운동 사적지 실태조사 및 현지보존, 발굴 등의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온라인)상에 해외 독립운동의 현장을 복원하여 청소년을 주대상으로 하는 가상체험공간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이 사업이 중국지역에 한정되어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성을 알리는데 한계가 있어 이번에 기존의 중국지역을 보완하는 것은 물론이고 미주(멕시코·쿠바 포함), 러시아(연해주 포함), 유럽, 일본지역과 함께 동남아시아지역(인도·싱가포르·태국·필리핀·인도네시아·미얀마)을 추가하여 개발하였다. 
1919년 3·1운동을 전후한 시기부터 1945년 광복까지를 주요 대상 시간으로 하여 항일독립운동의 실상과 미주지역으로의 이민사, 러시아 강제 이주, 동남아지역에서 자행된 일제의 강제징용 등의 주제, 이와 관련된 사적지 및 각종 동영상과 사진 자료, 관련 학습퀴즈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초·중·고등학교의 각종 역사 교과서에 나오는 해외독립운동 사적지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였다는 특징과 함께 사적지가 위치한 세계지도 등 지리정보를 함께 탑재하여 이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에 새로 개발되거나 보완된 사적지는 미주지역(멕시코·쿠바 포함): 46개 사적지 및 22개 미주이민 관련 사적지, 일본지역: 25개 사적지, 유럽지역(영국·프랑스·네덜란드·스위스·이탈리아): 13개 사적지, 러시아지역(연해주 포함): 40개 사적지와 강제이주 관련 19개 사적지, 동남아시아지역: 22개 사적지와 강제징용 관련 13개 사적지, 중국지역: 54개 사적지 총 254개 사적지이다. 이 밖에도 강제징용 등 애니메이션 4종, 사적지 동영상 24종, 학습 게임 6종 등의 멀티미디어도 함께 구축되었다. 
사이버체험 프로그램은 일제에게 강탈된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혼신을 다 바치신 애국 선열들의 고귀한 뜻을 기리며, 그 분들의 자취가 고스란히 남아 있는 해외사적지를 청소년들이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우리 민족사의 정통성과 미래에 대한 자긍심 고취와 아울러 독립운동에 대한 바른 이해와 관심을 확대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체험 공간을 제공하는 데에 그 개발 목적이 있다. 
사이버 체험 프로그램은 독자적인 도메인(www. yti815.or.kr)으로 운용되며 독립기념관과 국가보훈처의 홈 페이지를 통해서도 연계되고 있으며, 각종 포털 사이트의 검색창에서 독립운동·사적지·사이버 등의 단어를 사용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2008. 1. 8 
시민의 관점으로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보도자의 입장을 100%반영하는 보도 
카빙메이커투 : 김현수 
 - 카빙-  cabing.co.kr 
<저작권자 (C) 카빙.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