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30℃ 가량 더 뜨거워져..전기장판위에서도 안쓰는게 좋아 
닷새간 배터리안전성 공개시험 결과 발화·폭발등은 안 나타나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업계와 공동으로 노트북컴퓨터와 배터리에 대한 안전성확인 공개시험(3월 24∼28일. 경남 창원 전기연구원)을 실시한 결과, 발화·폭발 등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트북컴퓨터를 전원을 켠 상태로 가방속에 넣거나 전기장판위에서 사용하는 등의 부적정한 사용환경에서는, 정상적인 사용환경에서 보다 배터리 외부 온도가 약 10℃∼30℃ 더 높게 나타남에 따라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배터리 팩과 전지셀의 경우에도 시험온도와 시험시간 등을 국제표준(IEC)과 UL(미국)기준보다 강화한 조건으로 시험한 결과, 발열·발화 등의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술표준원은 이번 공개시험에서 배터리의 발열·발화 등의 이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음에 따라, 배터리 폭발사고의 원인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으나 노트북 전원를 켠 채로 가방속에 넣는 등 부적정한 사용환경에서 사고의 위험이 높다고 보고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이와 함께, 기술표준원에서는 노트북컴퓨터 배터리 폭발사고 방지를 위해 노트북컴퓨터의 올바른 사용방법을 알리는 홍보스티커를 제작하여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 부착 하는 대국민 홍보를 추진할 예정이며, 
노트북컴퓨터와 배터리 외부 표면, 사용설명서 등에 사용상 주의사항을 표시할 것을 제조업계에 권고하고, 추후 배터리 안전기준 제정안에도 표시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충방전 특성이 우수해서 휴대용 전자제품에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리튬계 배터리는 국내 판매제품은 물론 수출용 제품 모두 국제기준에 적합하게 생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폭발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미국·일본 등에서도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가는 추세이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서도 늘어나는 리튬계 배터리 폭발사고예방을 위하여 관련국 정부와 공조하여 안전기준제정을 검토하는 등 종합적인 안전관리방안을 마련 중에 있으나, 아직 사고의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음에 따라, 휴대전화, 네비게이션, PMP 등에 대해서도 안전성 확인시험을 추가로 실시하고, 시험결과와 사용상 주의사항을 국민들에게 알려 안전사고발생을 최소화 해 나가기로 했다. 
2008. 4. 2 
시민의 관점으로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보도자의 입장을 100%반영하는 보도 
카빙메이커투 :  한이환 
 - 카빙-  cabing.co.kr 
<저작권자 (C) 카빙.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